주택담보대출3 디딤돌, 버팀목, 주택담보대출, 청약 통장 금리 인상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차주부터 시행되는 금리 인상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디딤돌, 버팀목 대출 금리 인상 목적과 변동점 차주인 16일부터 부동산 구입을 위한 디딤돌 대출과 전세를 위한 버팀목 대출의 금리가 인상된다고 발표되었습니다. 1. 목적목적은 집값과 전세값의 지속적인 증가의 원인으로 해당 대출들이 지목을 받고 있다는 것이 큰 이유입니다. 또한 다른 이유로는 정부가 시중은행의 주택담보대출과 정책대출의 금리 차이를 좁혀 가계 대출 규모를 관리를 강화하겠다는 이유를 가지고 있습니다. 2. 변동점공통적인 금리의 변동은 기존 대출 금리에 비해 최대 0.4%p 인상된다는 점입니다. - 디딤돌대출 금리(구입)연 2.15-3.55% → 연 2.35-3.95% - 버팀목대출 금리 (전세)연 1.8-2... 2024. 8. 11. 대출 받기 유리해지는 주택담보대출 최신 동향 안녕하세요, 이번 글에서는 주택담보대출(주담대)에 대한 최근 추세 및 개정안 등을 알아보려고 합니다. - 고정금리 주담대 추세 23일 발표된 기사를 보면 금융 당국이 은행이 고정금리 주택담보대출을 취급하는 실적에 따라서 예금보험료를 차등 적용하는 방안을 추진한다고 합니다. 주택담보대출은 보통 금리구조가 고정금리, 혼합형(e.g 5년 고정금리 이후 변동금리), 변동금리 등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은행마다 이율, 기간 등이 상이합니다. 여기서 말하는 추진 방안은 총 주담대 대출 상품 중에서 고정금리로 운영하는 상품의 비율이 60%가 넘지 않으면 예금보험료를 추가로 3~7%까지 부과하여 패널티를 주는 것을 의미합니다. 사실상 고정금리로 운영되는 상품들의 비율을 늘리는 방향으로 유도하는 것인데요, 요즘 같은 고금리.. 2024. 1. 23. (내 집은 어디에...) 주택담보대출 이해하기 주택담보대출이란주택을 담보로 제공하여 대출을 받는 금융 상품입니다.주택을 구입하거나, 기존 담보대출을 대환 하거나, 전세자금을 마련하는 등 활용할 수 있습니다. 종류 알아보기대출의 종류는 크게 금융기관과 한국주택금융공사(주금공)에서 취급하는 것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금융기관시중은행, 저축은행, 보험사 등 다양한 기관에서 취급하는 대출입니다.금리, 한도, 조건 등이 기관마다 다르니 비교해 보고 가장 유리한 조건으로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주택금융공사주로 정부의 지원을 받아 금리가 상대적으로 낮고 대출한도가 높은 대출 종류가 있고대표적으로 디딤돌대출, 보금자리론, 전세자금대출 등이 있습니다.2023년에는 DSR 같은 조건을 완화한 특례 보금자리론을 운영하였고, 24년 1월 말까지 진행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 2024. 1. 9. 이전 1 다음 반응형